Syllubus for Human Biology
2017학년도 제2학기
교과목번호
|
CB6201
|
교과목명
|
Human Biology
|
학점
|
3
|
담당교원
|
강광일
|
강의시간
|
3
|
강의실
|
창408
|
수강대상
|
15학번
|
1. 교과목의 개요
본 교과에서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중요한 물음을 생물학적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으로 이해하고 이와 연관된 중요한 문제들을 다룰 것이다. 생물학적 인간이란 인간에 대한 생물학적 데이터와 이러한 생물학적 데이터가 가진 의미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간의 생물학적 기초를 바탕을 데이터로는 현생인류의 기원, 인간의 생리현상과 병리현상, 생명현상과 죽음 그리고 인간의 의식을 포함하며 이러한 내용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서 자연계 내에서 인간의 위치를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그리고 생물학적 인간에 대한 기본 주제 자료를 준비하고 이러한 자료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사례들을 발표 토론 과정을 거치면서 인간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들을 학습하고 이러한 연습과정을 통하여 인간에 대한 종합적인 지식을 만들어가는 방법을 찾아간다. 이 인간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2. 교재 및 참고도서
가. 교 재 : Anthropology, Cameron M. Smith with Evan T Davies, Wiley, 2008
Die Bildung des Menschen 인간, 에른스트 피셔 지음, 들녘 2005
Campbell Biology 10th edition (human genome, human history,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What makes us human? edited by Charles Pasternak 2007 무엇이 우리를 인간이게 하는가?
나. 테마별 참고도서 :
The origin of humankind, Richard Leakey, 1994. 인류의 기원, 사이언스 북스 (기초)(중요)
인류의 기원 이상희 윤신영 사이언스북스 2015. (기초)
Deep Ancestry: inside the genographic project 2004, Spencer wells. 인류의 조상을 찾아서", 스펜서 웰스 지음, 채은진 옮김, 말글빛냄 (기초)(중요)
Human The science behind what makes us unique Michael Gazzaniga 2008 왜 인간인가? 박인균 옮김 2009 (중급)
Why We Get Sick: The New Science of Darwinian Medicine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 네스, 윌리엄즈. 사이언스북스 1999 (중급)(중요)
Why We Age 인간은 왜 늙는가, 스티븐 어스태드, 궁리, 2005 (중급)(중요)
Long for this world, Jonathan Weiner 생명연장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 죽음을 죽이다 2010 (기초)
Voyage extraordinaire au centre du cerveau, Jean-Didier Vincent, 2007 뇌한복판으로 떠나는 여행 2010 해나무 (기초)
The Human Brain: a guided tour, 1998, Susan Greenfield 휴먼브레인, 수잔 그린필드 (기 초)(중요)
의식의 탐구(Quest for consciousness), 크리스토프 코흐, 김미선 옮김, 2006. 시그마프레스 (고급)(중요)
인지, 뇌, 의식 Cognition, Brain, and Consciousness, B.J. Baars, N.M. Gage. 강봉균 역, 교보문고 (고급)
감정은 어떻게 진화했나 이시카와 마사토 박진열 옮김 라르고 2016. (기초)
3. 평가방법
과제수행평가
|
지필평가
|
Quiz
|
출결및 수업참여도
|
합 계
|
비 고
|
개인주제발표 및 토론(1)
|
개인주제발표및 토론(2)
|
수행노트
계획/전개과정/결과
|
기말
|
10
|
10
|
20
|
40
|
10
|
10
|
100
|
|
출결: 무사유 결석 (3회 이상 학점인정불가), 지각 2회 (무사유 결석1회 간주)
과제수행: 개인주제발표는 자료준비과정에서부터 이론자료(5), 발표 및 토론(5) 모두 평가합니다. 주제발표자료는 A4용지 양면 1매(제목, 신명조 14; 본문, 신명조, 10, 용지상하10, 좌우15, 스페이스 130)를 원칙으로 합니다 (그림자료포함). 발표는 주제내용의 충실성(1), 과학적 내용(1), 논리성(1), 가독성(1), 아이디어(1)를 평가합니다. 과제수행노트는 중간, 기말 제출하여야 평가에 연속성을 가지고 반영됩니다. 인터넷자료나열은 과제수행노트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과제수행내용은 자신이 공부한 텍스트 내용 정리(10), 자신이 추가한 내용 (10) 그리고 최종적인 지식의 결론 및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10)이 평가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시험은 수업시간 다룬 생물학적 중요주제에 대한 논술형이며, 수업참여정도는 수업중의 태도, 적극성 (예, 질의응답, 피드백) 등이 포함됩니다. 학점은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를 병행하여 부여합니다.
4. 주별 강의계획서
주 별
|
강 의 및 실 험 내 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제1주
|
Biological Human: Homo sapiens
|
수업안내 및 강의 video자료
|
제2주
|
What makes us human : anatomical and behavioral modernity
|
강의 및 자료 분석
video 자료
|
제3주
|
What makes us human : genetical modernity
|
강의 및 video 자료
|
제4주
|
History of Y chromosome
|
생물학적 인간의 특성 및 연구 방법 발표 및 토론1
|
제5주
|
인체라는 기계/ 인간과 질병 주제 선정
|
자료분석, 발표 및 토론
|
제6주
|
인체의 구조 및 질병의 기원
|
자료분석, 발표 및 토론
퀴즈
|
제7주
|
인체의 구조 및 질병/ Design: 인체의 구조
|
생물학적 인간의 특성 및 연구 방법 발표 및 토론2
|
제8주
|
중간고사기간
|
과제수행노트제출 및 점검
|
제9주
|
Biology of aging and death
|
강의, 발표, 토론
|
제10주
|
Modern theory of Aging 노화 주제 발표 및 접근 방법 토론
|
강의,발표, 토론
|
제11주
|
의식의 기원, Brain science, 뇌 발달, 뇌구조와 기능
|
강의 및 video 자료 분석
|
제12주
|
visual pathway, 외부세계에 대한 인지과정
|
강의 및 video 자료 분석
|
제13주
|
세계가 어떻게 우리의 내부로 들어오는가? 주제선정
|
강의, 발표 및 토론
|
제14주
|
감각의 등장 주제발표/뇌와 기억 주제
|
강의, 발표 및 토론
|
제15주
|
의식에 관한 대립이론 고찰 및 토론
|
강의, 발표 및 토론
|
제16주
|
기말고사기간
|
과제수행노트제출 및 평가
|
* 강의계획은 실제 수업과정에서 조정될 수 있습니다.